[229호-1] 지역방송활성화에 사장직을 걸어라
[229호-1] 지역방송활성화에 사장직을 걸어라
  • 전국언론노조 KBS본부
  • 승인 2019.08.13 14:2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9년 8월 6일 KBS본부노조 대회의실에서 본부노조 지부장들이 모인 가운데 긴급지역협의회가 개최됐다.
2019년 8월 6일 KBS본부노조 대회의실에서 본부노조 지부장들이 모인 가운데 긴급지역협의회가 개최됐다.

지역방송활성화에 사장직을 걸어라

 

  지난달 회사가 내놓은 <비상경영계획 2019> 가운데 지역방송국 광역거점센터 육성에 대한 세부시행계획이 나왔다. 핵심은 강릉과 울산을 제외한 7개 지역방송국의 보도, TV, 송출, 총무기능을 총국중심으로 재편하겠다는 것이다. 사장이 취임사에서 지역방송활성화를 약속한 지 8개월만이다. 하지만 현재의 세부시행계획만으로는 과연 지역방송활성화가 제대로 추진 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합치고 줄이겠다는 내용만 있지 어떻게 시너지를 낼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과 예산이나 인력수급 안은 제시돼있지 않다. 

  이에 본부노조 10개 지부 지부장들은 지난 6일에 이어 12일에도 긴급지역협의회를 개최했다. 지역방송활성화를 위한 정책이 <비상경영계획 2019>라는 절감대상에 들어가는 순간부터 지역은 비효율의 대상이 되어버렸다. 그러면서도 방송국 허가권을 위해 라디오는 존치해야하고 기존 본사 부장급의 국장 직위도 그대로 유지해야한단다. 지역방송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절실함은 찾아 볼 수 없다. 철학도 비전도 없다. 그저 여기저기 눈치 보기한 결과에 지나지 않는다. 지역방송활성화는 전사적 역량을 결집해도 이뤄내기 힘든 난제이다. 

  정치권과 시민단체에 대한 설명이나 설득작업 없이 불쑥 정책을 마련했다가 반대여론이 거세지자 이마저도 다시 뒤로 미루자고 한다. 그러면서 제주형 뉴스7의 도입과 광주형 디지털 미디어 사업은 인력과 예산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없이 무턱대고 시작해보자고 한다. 주52시간을 지키기에도 벅찬 인력운용 상황이다. 찔끔 예산으로 또 버티라한다. 

  결국 KBS 지역정책은 예전에도 그랬듯 마른 수건 짜기로 귀결하는 모양새다. 사장은 과연 지역방송을 활성화할 의지가 있기는 한 것 이었나?

 

우리의 요구

첫째, 약속했던 지역방송활성화 정책을 흔들림없이 추진하라. 지역 내부 구성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주의깊게 듣고 정책에 반영하라. 이를 토대로 사장이 정치권과 지역 시민사회단체에게 설명하고 설득하라.

둘째, 구체적인 인력수급과 예산지원 계획 없는 시범서비스 사업 확대는 단연코 반대한다. 제주와 광주형 시범사업의 일방적인 이식 역시 반대한다. 핵심은 총국단위 지역편성의 자율권이지 총국장의 재량권이 아니다. 시범서비스사업을 통해 지역보도의 역할은 어떻게 할 것인지, 지역의 제작기능은 어떻게 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라. 노사협의기구에서의 합의를 바탕으로 지역방송활성화 사업을 진행하라.

셋째, 7개 지역방송국의 기능을 단순히 축소시키는 방안에는 반대한다. 9개 총국과 함께 강릉과 울산이 거점으로서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강릉과 울산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계획을 마련하라.

 

본부노조는 사측이 우리의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거나 지역방송활성화 자체를 무산시킨다면 사장과 임원진 총사퇴를 위한 투쟁을 전개해 나갈 것이다.


  •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8대 집행부 본부장 박상현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 KBS누리동 2층
  • 전국언론노조 KBS본부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전국언론노조 KBS본부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