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6 <직무재설계를 따져 묻다> 현장 중계 | 지역

지역지부
- 일방적인 정원 표준안 산정 근거 부실
- 촬영감독-아나운서 직무 외주화 불가
- 중계차 통합운영은 행정편의적 발상
- 지역 관련 직무재설계안 대부분 비현실적
KBS본부 표준화라는 명분으로 지역 총국의 정원을 하나의 잣대로 산정했다. 지역 특성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 일방적인 안이다.
혁신추진부 총국의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 점은 인정한다. 하지만 현재 총국별 인력 구성 편차가 너무나 커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에서 평균치를 내 표준화 안을 만들었다.
KBS본부 문화사업국과 뉴미디어 추진단 역량은 총국별 편차가 있다. 혁추부안은 그 가운데 안되는 곳을 기준으로 삼은 것 아닌가?
혁신추진부 총국장들도 우려가 많다. 총국 별 편차가 있는 점 등을 고려해서 현장에서 수용할 수 있는 안으로 수정하겠다.
KBS본부 영상감독 인원을 절반 가까이 줄여 5명을 적정인력으로 삼은 근거가 무엇인가?
혁신추진부 총국마다 스튜디오 고정 업무가 많아 야외촬영은 외부인력 활용을 생각했는데, 반발이 커서 다른 방안을 찾아보고 있다. 5명으로 스튜디오 업무와 재난방송지원까지 하기는 무리라는 측면을 이해하고 있다.
KBS본부 강릉국이 담당하는 영동지역은 영역이 매우 넓은 편이어서 재난상황에 즉각 대응이 쉽지 않고, 강원지역 뉴스 생산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원을 줄일게 아니라 적당한 역할을 부여해 정원과 기능을 확대하는 맞지 않나?
혁신추진부 강릉국은 사실상 TV 제작 기능이 거의 없고, TV는 보도만 하고 있기 때문에 방송부라는 형태로 합치는 방안을 고려했다. 강릉국의 특별한 역할을 제안해주면 적극적으로 검토해보겠다.
KBS본부 지역 PD 정원 표준화는 전반적인 제작 편수를 줄이고 대표 프로그램에 집중하겠다는 뜻인데, 로컬 편성 비율 조정이 전제가 돼야 가능한 것 아닌가?
혁신추진부 우리 정책적 의지를 표명한 거고, 로컬 편성비율 조정은 회사에서 방통위를 설득해줘야 하는 부분은 맞다. 사실상 이상론이라는 지적 인정한다.
KBS본부 지역국에 배치된 인원이 취재 기자 1명 촬영 기자 1명뿐이다. 지역국 기능조정 여부가 계속 연기되면서 불투명해지고 있는데, 이런 점 고려했나?
혁신추진부 그 부분은 지금 어떻게 될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결과에 따라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점 알지만, 우리가 사전에 결과를 예측해 반영할 수는 없었다.
KBS본부 뉴스PD와 MD업무는 전혀 다른데, 두 직무를 합쳐서 운영하겠다는 게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혁신추진부 두 직무는 시간대 별로 겹치는 시간이 많지가 않기 때문에 정원을 늘려 통합 운영하면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KBS본부 메신저를 이용한 송신소 원격 제어는 구성원을 기계로 봤을때나 가능한 제안이다. 52시간을 지키지 않고 24시간 감시 업무를 하라는 것인가.
혁신추진부 당사자들이 굉장히 압박감을 느낄 것이라고 인정한다. 지역 인력난이 심각하다 보니 핵심업무에 인력을 집중하자는 취지였는데, 업무를 떠넘기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재검토하는 중이다.
KBS본부 송출센터 교대근무 인력을 1명으로 하자는 제안도 시행될 경우 법이 정해 놓은 휴게시간조차 지키지 못하게 될 것이다.
혁신추진부 어느 곳에서도 2인이 근무하는 송출센터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다만 문제가 있다고는 생각해서 해결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혁신추진부는 향후 직무재설계안과 관련한 일정에 대한 질문에 대해 “임원 전략회의 등을 통해 합의된 안을 만들고 해당 안을 조합과 공유해 다시 조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조합에서 전달한 258페이지 분량의 의견서가, 지금까지 각 본부별로 제출된 의견서의 내용들과 80%정도 일치하는 것 같다며, 향후 혁신추진부에서 합의된 안이 졸속으로 만들어질 것이라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최종안 도출 시점이 언제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혁신추진부의 의지에 달려있는 부분이 아니”라고 답했습니다.
마무리 발언을 통해 혁신추진부는 “이런 안을 제시하게 돼서 죄송하고 송구스럽다”, “비전을 보이기에도 부족한 안이라고도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하지만 이 정도가 가장 현실적인 안이라고 생각했다. 앞으로도 계속 소통하면서 간격을 좁혀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현장에서 다양한 문제들이 제기됐던 만큼, 제대로 된 의견수렴 절차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뒤따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직무재설계 초안에서 ‘단기 과제’로 선정됐다는 이유만으로 먼저 시행에 들어가면 안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향후 적은 수의 과제라 하더라도 현장과 의견을 나눠 제대로 선정하고 시행할 것을 촉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