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호] 정연주, 김인규를 본받아라!
[123호] 정연주, 김인규를 본받아라!
  • 전국언론노조 KBS본부
  • 승인 2013.10.30 11:4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면안내]

 

2면 : 제3대위원장,수석부위원장 선거공고 /

전직 이사장,이사님들 도대체 왜 이러실까?

3면 : '창조'개편? '망조'로 끝난 가을개편

4면 : 정연주,김인규를 본받아라 / 8vsb 종편특혜,700MHz 통신매각

규탄 기자회견

 

 

정연주, 김인규를 본받아라!

 

오늘(30일) 이사회에서는 수신료 종합심의 안건이 올라가 있다. 소수 이사들은 쟁점 중 하나인 8개 국장 직선제에서 6개 국장 임명동의제로 수정제안을 했으나 아직 다수/소수 이사진들 간에 입장 차가 커 향후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을지는 아직 미정이다.

두 달의 기간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올해 안에 국회에서 수신료 인상안이 통과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올해 초 수신료안이 이사회에 제출된 이후 지금까지 교착상태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있다. 수신료 현실화의 가장 선두에 서야 할 사장의 모습이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과거의 경험을 비추어 보면 더욱 그런 느낌을 지우지 못한다.

 

 

정연주는..

 

정연주 사장 시기 수신료 현실화 추진의 여건은 김인규 사장 때나 지금보다 더욱 좋지 않았다. 한나라당과 조중동, 보수단체들은 정연주 사장의 연임을 거세게 반대했고, 수신료 현실화 과정에서는 공공연히 ‘정연주가 물러나지 않는 한 수신료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정연주 사장 때는 2006년 4월 12일 이사회에서 수신료현실화 전담팀 신설이 의결되고, 일주일 후 ‘수신료프로젝트팀(단장 전영일)’이 만들어지며 수신료 현실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그 해 12월 진홍순 특임본부장이 임명되었고, 이듬해 2월 특임본부장을 단장으로 ‘수신료 현실화 추진단’이 발족했다. 말 그대로 ‘전사적 추진기구’였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거의 일일 단위로 수신료 인상을 위한 작업이 진행됐다. 특임본부장은 국회에 상주하다시피 하며 국회의원들을 설득했고, 수신료 추진단장을 비롯한 간부들은 당시 야권(한나라당) 추천 이사들과 시민단체들을 만나러 다녔으며, 결국 수신료 인상에 비판적인 시민사회단체들의 지지를 이끌어내는데 성공했다.

당시 권혁부 등 야권 추천 이사들은 KBS가 노무현 정권 편향적이라며 수신료 인상을 극렬 반대했고, 조중동과 한나라당 역시 이런 주장을 되풀이했다. 이런 비난에는 구체적 자료를 제시하며 반박을 했다. (2007년 3월 한국홍보학회 세미나에서 발표된 조정렬 교수 분석자료에 따르면 정부 비판 보도를 가장 많이 한 매체는 1위가 동아일보였고, 2위가 KBS였다)

결국 2007년 7월 9일 수신료안이 이사회를 통과했고, 정연주 사장은 7월 10일 수신료 인상안을 설명하는 대국민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후 방통위를 거쳐 9월 21일 수신료안이 국회에 제출됐으나 그해 말 이명박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고 정연주 사장 축출작업이 시작됐고, 2008년 5월 30일 수신료 인상안이 17대 국회 종료로 자동폐기됨에 따라 정연주 사장 시기의 수신료 현실화는 막을 내리게 된다.

 

 

김인규는..

 

김인규 사장 때도 수신료 현실화는 처음부터 외부의 거센 반대에 부딪쳤다. 김인규 사장은 MB 특보라는 원죄를 지니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광고축소를 통한 종편 살리기라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 2010년 6월 16일 경영회의에서 수신료 인상안(1안:6,500원 인상, 광고폐지 / 2안:4,600원 인상, 광고 19.7% 축소)이축 의결되자 이러한 반대와 의혹은 더욱 증폭됐다.

2010년 7월 새노조 단협쟁취 파업이 끝난 후 사내 노동조합 및 협회 등에 대한 의견수렴 작업이 시작됐고, 이사회의 공청회와 워크숍, 간담회가 연이어 열렸다. 9월 6일 수신료현실화 종합상황실이 설치됐고, 지루한 논쟁을 거쳐 마침내 2010년 11월 19일 666차 임시 이사회에서 소수 이사들의 안(월 3,500원 인상)을 전원 합의로 수정 의결했다. 조중동은 즉각 반발을 했으나 오랜 시간 협의 끝에 도출된 결론이었고, 그만큼 국회에서 수신료가 통과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김인규 사장 때는 그 어느 때보다 시민사회단체에서 방송공정성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당시 사측이 마련한 안을 보면 여전히 미흡하기는 하나 공정방송위원회 기능 강화, 공정성 평가위원회 신설, 시청자위원회 개선 등 지금보다는 훨씬 진일보한 방안이 담겨 있다.

2011년 3월 10일 수신료 안이 국회 문방위에 상정이 되었고, 김인규 사장은 때로는 무모할 정도로 국회 설득작업을 하면 수신료 현실화를 밀어붙였다. 결론적으로 안하느니만 못했지만 <심야토론>에 나와 여야 의원들과 맞짱 토론도 했다. 이런 무리수 끝에 결국 도청의혹 사건이 터지면서 마침내 수신료 현실화는 좌절되었다.

 

 

길환영은..

 

정연주, 김인규 사장 때 두 번에 걸친 수신료 현실화는 결국 실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명의 사장이 중심에 서 수신료 현실화를 진두지휘하며 추진했던 노력만큼은 인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당시의 과정은 사내 도서관에도 비치돼 있는 수신료 현실화 추진 백서만 봐도 잘 알 수 있다.

그런데 과연 길환영 사장은 향후 무엇을 백서에 남길 수 있을 것인가?

수신료 인상을 위한 공정방송 장치 마련은 이사회가 할 일이고, 현재의 보도 공정성 논란은 자신은 모르는 일이고.. 그렇다면 도대체 사장의 역할은 무엇인가?

애초 부실한 수신료 인상안을 상정한 것에 대해서 그동안 수많은 비판도 있었지만 그 이후 뭔가 개선이 됐다는 소식은 들어보지 못했다.

방송법에는 수신료에 대한 이사회의 권한을 ‘심의·의결’로 규정하고 있다. 수신료 안을 만들고, 정치권과 이사회, 시청자를 설득하는 일은 사장을 비롯한 집행부가 해야 할 일인 것이다. 사장이 목숨을 걸어도 될까 말까한 것이 수신료 인상이다. 그런데 과연 길환영 사장은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한 것인가? 제발 행동으로 보여주기를 바란다.

 

 

 


  •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8대 집행부 본부장 박상현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 KBS누리동 2층
  • 전국언론노조 KBS본부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전국언론노조 KBS본부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